"빚이 있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신경림의 시 <가난한 사랑 노래>(1988)에서 이웃 젊은이의 사랑은 '돌아서는 내 등 뒤에 터지던 네 울음'처럼 절절하다. 2024년 젊은작가상 수상작이기도 한 김지연의 소설 <반려빚>에서 이제 가난의 세계는 만화적 상상력으로 따라붙는다. 서일과의 긴 연애 끝에 일억 육천의 빚이 남은 정현에겐 반려자도 반려동물도 아닌 반려빚이 두 눈을 부릅뜨고 따라다닌다. 생물 비슷한 모양새로 꿈에도 나오는 이 빚만이 내 생존을 원하고 있다. 중고서점에서도 받아주지 않는 낡은 책처럼 '자신이 좋아했던 것들은 죄다 이렇게 똥값이 된다는 사실'(93쪽)을 받아들인 뒤의 헛헛함으로 서일은 또 내일을 산다. 소설가 김연수가 이 소설을 추천하면서 한 말처럼 '너덜더덜, 상처투성이일지라도' 한번 더 나아가는 그 상태를 김지연의 소설은 '웃프게' 포착한다.
2022년 첫 소설집 <마음에 없는 소리>가 소설가 50인이 뽑은 올해의 소설에 선정되기도 한 젊은작가 김지연의 두번째 소설집이다. 돈을 빌려주면 애인은 도망가고, 전 남편의 현 부인은 사망보험금 때문에 연락을 해온다. 일을 하다 다치고,다치면 실직하고, 실직하면 빚을 지고, 빚을 지면 애인을 등쳐 먹게 되는 세계에서 남 탓 대신 내 탓을 해본 적이 있다면 김지연의 소설 속 인물들의 곤혹스러운 처지에서 '조금 망한' 우리의 얼굴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이 소설처럼 웃고 욕하고 화낸 뒤 누워있고 싶다. 그러면 소설 속 인물들처럼 또 다시 망하러 갈 수 있을 것 같다.
- 소설 MD 김효선 (2024.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