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김한식

최근작
2022년 2월 <시학>

김한식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와 동 대학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이야기의 시학과 수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중앙대학교 프랑스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문학과 철학의 대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문학 이론과 폴 리쾨르의 해석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 『해석의 에움길-폴 리쾨르의 해석학과 문학』(문학과지성사, 2019)이 있으며, 폴 리쾨르의 『시간과 이야기』(전 3권, 문학과지성사)를 번역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시간과 이야기 1> - 1999년 11월  더보기

이 점에서 리쾨르의 해석학은 타인의 심리를 이해하려는 딜타이 류의 낭만주의 해석학에서 벗어나 하이데거적인 존재론적 이해로서의 해석학과 만난다. 그러나 텍스트를 통한 자기 이해라는 먼 길을 택한다는 점에서 하이데거와는 다르다. 반성철학, 현상학 그리고 기호, 상징, 텍스트의 매개를 통한 해석학은 직관에 의한 투명한 자기 인식의 꿈을 포기하고 길고도 먼 우회로를 통해 자기 이해-세계 이해에 이르고자 한다. 리쾨르의 이야기론을 이해한다는 것은 바로 이 텍스트 해석학을 이해하는 것이 된다. 텍스트를 해석한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텍스트 내에서 작품의 구조화를 지배하는 내적 역동성을 찾아내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텍스트를 넘어 텍스트가 가리키는 세계, 텍스트가 담고 있는 '것chose'이라 할 수 있는 세계를 만들어 내는 작품의 힘을 찾아내어 독자 '나름대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해석학은 구조주의를 수용함으로써 상징을 탈신화화하고, 텍스트가 보여주는 존재 이해를 받아들임으로써 구조주의를 넘어선다. 이처럼 해석학을 "어떤 해석, 다시 말해서 단일한 텍스트나 하나의 텍스트로 여겨질 수 있는 일군의 기호들에 대한 해석을 지배하는 규칙들에 대한 이론"으로 정의한다면, 그의 해석학은 언어학, 정신분석, 신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해석 방식(해석학)과의 만남(갈등)을 통해 말의 뜻이 속한 여러 가지 층위를 골고루 더듬어 삶의 뜻과 연결시키는 종합적 해석학, 또는 해석의 일반 규칙을 지향한다고 말할 수 있다. 말의 뜻을 푸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말뜻을 통해 삶의 뜻으로 나아가는 것이 리쾨르 해석학의 특징이다. 사실 "허구 이야기에서의 시간의 형상화"라는 부제가 말해주듯이, 『시간과 이야기』2권은 나머지 두 권에 비해 가장 '문학적'이다. 특히 버지니아 울프, 토마스 만, 프루스트의 작품을 분석한 부분은 이 책의 백미라 할 수 있다. 때로 무겁게 느껴질 수도 있는 리쾨르의 이론에 짓눌리지 않으려면 이 부분부터 읽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또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시간과 이야기』1, 2권의 요점을 중심으로 옮긴이 해제를 마련하여 나름대로 정리해 보았은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000년 12월 19일 알라딘에 보내신 작가 코멘트)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