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전덕재

최근작
2023년 6월 <신라지방통치제도사>

전덕재

강원도 양구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서울대학교와 서원대학교, 가톨릭대학교 강사 및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경주대학교 교양 과정부와 문화재학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역사연구회 연구위원회 위원장, 한국사연구회 연구이사, 한국고대사학회 총무이사와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신라육부체제연구』(1996), 『한국고대 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2002), 『한국고대사회경제사』(2006), 『신라 왕경의 역사』(2009), 『삼국사기본기의 원전과 편찬』(2018),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2018), 『한국 고대 음악과 고려악』(2020), 『삼국사기 잡지·열전의 원전과 편찬』(2021) 등이 있고, 한국고대사 관련 논문 160여 편을 발표하였다. 2020년에 단국대학교 범은학술상, 2021년에 제40회 두계학술상을 수상하였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큰글자도서]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 - 2020년 8월  더보기

머리말 근래에 한국상고사를 둘러싼 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논쟁은 주로 고조선 말기의 중심지와 낙랑군의 위치를 둘러싸고 전개되었다. 현재 한국고대사학계에서 고조선의 중심지를 둘러싸고 다양한 학설이 제기되었다. 사실 학문의 세계에서 연구자마다 학설이 다르다는 것은 크게 문제 삼을 필요가 없다. 다만 근래에 전개된 상고사논쟁은 연구자들 사이의 학문적인 논쟁을 넘어 정치적인 배경을 깔고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우려되는 바가 적지 않다. 이른바 재야사학자 일명 사이비역사학자 가운데 일부는 고조선 말기의 중심지가 대동강유역이었고, 한나라가 거기에 낙랑군을 설치하였다고 이해하는 한국고대사 연구자들을 매국의 식민사학자들이라고 비난한다. 그러면서 우리 민족의 진정한 독립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제로부터의 진정한 해방은 식민사학자들의 견해를 추종하는 매국의 역사학을 극복하는 데에 있다고 대중들을 현혹시켰다. 박근혜정부가 국정교과서 발행을 추진하면서, 일부 재야사학자의 견해를 국정교과서에 반영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한국고대사 연구자들 사이에 팽배해졌다. 이에 대해 한국고대사학계에서 대중들에게 학계의 학문성과를 올바로 알리기 위해 대중강연회를 개최하거나 또는 일부 재야사학자의 견해를 체계적으로 비판하는 저술을 출간하였다. 상고사논쟁이 전개되는 와중에 학계 내부에서 지금까지 연구 성과의 대중화에 대해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성찰이 있었다. 사실 학계의 전문적인 연구 성과를 일반 대중에게 전달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계에서 연구 성과의 대중화를 위하여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모습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앞으로도 대중화사업에 지속적으로 매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서 역시 한국고대사 연구 성과를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하고, 그들의 한국고대사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준비되었다. 저자는 본서에서 일반적인 통사체계를 지양하고,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의 특징적인 면모와 흐름을 살필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한국고대사의 여러 이슈와 쟁점 가운데 학자와 일반 대중의 관심이 높은 21개를 선정하여 서술하였는데, 이슈와 논쟁을 선정할 때, 일반 대중에게 역사적 사실이 잘못 알려져 있거나 또는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둘러싸고 학계에서 논쟁이 되거나 학설사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측면 등을 두루 고려하였다. 또한 필요한 경우 특별한 이슈가 되지 않지만, 고대에 한국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가를 살필 수 있는 주제도 포함시켜 단순한 이슈와 쟁점 위주의 서술을 보완하려고 하였다. 본서에서는 21개의 이슈와 쟁점을 새롭게 쓴 인물 평전, 역사적 진실을 찾아서, 고대사의 숨은 이야기, 고대 사회와 고대인의 삶으로 분류하여 탐색하였다. ‘새롭게 쓴 인물 평전’에서는 우리가 널리 알고 있는 인물을 새로운 시각에서 탐구하였다. 여기서 저자는 민족주의 사학자들에게 구국의 영웅으로 칭송받았던 연개소문, 사대주의자로서 비판받았던 김춘추와 김유신을 민족과 사대라는 잣대가 아니라 당대 오롯이 고구려인과 신라인의 입장에서 새롭게 조명하였다. 이어서 폭군의 대명사였던 의자왕에 대한 오해를 해명하고, 후삼국시대의 두 영웅인 견훤과 궁예가 새로운 시대를 여는 주인공이 되지 못한 이유, 실정으로 나라를 혼란에 빠트려 결국 반란군에게 시해를 당한 혜공왕의 비밀과 그에 대한 후대인의 평가를 정리하였다. ‘역사의 진실을 찾아서’에서는 일반 대중에게 잘못 알려진 내용이나 학계에서 논란이 되었던 이슈를 선정하여 서술하였다. 오늘날 한반도에 살고 있는 한국 사람들은 민족의 기원과 형성에 대한 관심이 지대한 편인데, 여기서는 먼저 이와 같은 일반 대중의 궁금증을 고려하여 우리 민족의 기원과 형성과정을 탐구하여 보았다. 그리고 일부 재야사학자 및 한국고대사 전공자 사이에 견해 차이가 큰 고조선의 중심지와 건국 시기 문제, 한사군의 성격과 그것이 우리 역사에 끼친 영향을 탐색한 다음, 이어 중국 사서에 전하지만, 연구자들 사이에 의견이 엇갈리는 백제 요서 진출의 진위 여부, 일반 대중에게 천문대로 알려진 첨성대의 성격을 둘러싼 학계의 논쟁, 발해사의 국적을 둘러싼 한국과 중국, 러시아의 견해 등을 꼼꼼하게 분석하여 저자 나름의 생각을 피력하여 보았다. ‘고대사의 숨은 이야기’에서는 베일에 가려 있는 고대사 속의 비밀을 풀어 한국고대사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이슈들을 다루었다. 저자는 여기서 먼저 고구려의 태조왕이란 왕호에 숨겨진 암호를 풀면서 고구려에서 한때 주몽이 아니라 태조왕을 시조로 인식하였고, 4세기 후반 소수림왕 때에 주몽을 고구려의 시조로 인식하면서 고구려의 역사를 새로 썼다는 사실을 밝히려고 하였다. 그리고 백제의 건국 시조로서 온조와 비류, 구태 등으로 다양하게 전해진 이유를 탐색하면서, 백제인들이 시기에 따라 그들의 시조를 다르게 인식하였고, 그때마다 자국의 역사를 다시 정리하였음을 해명하였다. 이외에 1980년대 후반과 2009년에 발견된 울진봉평신라비와 영일냉수리신라비,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내용을 분석하여, 6세기 초반 신라 정치체제의 구체적인 모습을 스케치하였고, 가야를 삼국과 대등하게 취급하여 삼국시대가 아니라 사국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하자고 제안한 견해의 내용과 문제점, 당나라 사람들이 발해를 해동성국이라고 부른 연유 등에 대해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대 사회와 고대인의 삶’에서는 고대인들이 살았던 사회 모습과 그들의 생활상을 정리하였다. 여기서는 고조선의 사회 성격, 삼한의 형성과정과 실체, 4~5세기 고구려의 천하관과 더불어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 신라인의 사랑과 결혼 등에 알아보았다. 본서는 청소년과 대학 1, 2학년 학생,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도서로 기획되었다. 이 때문에 저자는 그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가능하면 사용하는 개념과 용어를 쉽게 풀어서 설명하려고 하였다. 또한 학계의 논쟁을 소개할 경우, 학자의 주장을 단순하게 나열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논점의 차이를 명확하게 부각시킨 다음, 그에 대한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려고 의도하였다. 아울러 학계의 연구동향을 비교적 정확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것을 기초로 기존에 신문과 방송 등을 통해 일반 대중에게 잘못 알려진 사실을 교정하는 데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였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저자는 본서에서 고대사의 여러 이슈를 재미있고 쉽게 서술하려고 최대한 노력하면서도 각각의 이슈마다 기승전결로 나누어 기술함으로써 일정한 체계성을 갖추도록 배려하였다. 독자들은 본서를 읽음으로써 한국고대사의 여러 이슈와 쟁점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제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사고력을 크게 배양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