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photos |

|
|
|
상품평점 |
|
|
| 가족: | 형제 박찬경(설치미술가,비디오 아티스트) |
|
|
|
|
| 내가 쓴 책인데도 좀처럼 똑바로 보지를 못했다. 표지에 내 얼굴 사진이 크게 박힌 데다가 피부가 플라스틱처럼 매끈매끈하게 보정되었기 때문이다. 표지만 보아서는 딱 피부과 전문의의 저서 꼴이 아닌가(하긴 〈미쓰 홍당무〉라는 영화에 ‘피부과 전문의 박찬욱’이라는 캐릭터가 나오기는 한다. 이 책 표지에서 영감을 받아 창조되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출판사 대표님을 조르고 조른 끝에 이제 드디어 이 책이 옷을 갈아입게 되었다. 아니 피부를 교체한다. 내가 찍힌 사진에서 내가 찍은 사진으로. 출판사에서 고른 이 사진들이 책의 내용과 각각 어떻게 조응하는지 똑 부러지게 설명하긴 어렵다. 그런데 가만 보고 있으면 묘하게도 납득이 된다. |
| 내가 쓴 책인데도 좀처럼 똑바로 보지를 못했다. 표지에 내 얼굴 사진이 크게 박힌 데다가 피부가 플라스틱처럼 매끈매끈하게 보정되었기 때문이다. 표지만 보아서는 딱 피부과 전문의의 저서 꼴이 아닌가(하긴 〈미쓰 홍당무〉라는 영화에 ‘피부과 전문의 박찬욱’이라는 캐릭터가 나오기는 한다. 이 책 표지에서 영감을 받아 창조되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출판사 대표님을 조르고 조른 끝에 이제 드디어 이 책이 옷을 갈아입게 되었다. 아니 피부를 교체한다. 내가 찍힌 사진에서 내가 찍은 사진으로. 출판사에서 고른 이 사진들이 책의 내용과 각각 어떻게 조응하는지 똑 부러지게 설명하긴 어렵다. 그런데 가만 보고 있으면 묘하게도 납득이 된다. |
| 내가 쓴 책인데도 좀처럼 똑바로 보지를 못했다. 표지에 내 얼굴 사진이 크게 박힌 데다가 피부가 플라스틱처럼 매끈매끈하게 보정되었기 때문이다. 표지만 보아서는 딱 피부과 전문의의 저서 꼴이 아닌가(하긴 〈미쓰 홍당무〉라는 영화에 ‘피부과 전문의 박찬욱’이라는 캐릭터가 나오기는 한다. 이 책 표지에서 영감을 받아 창조되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출판사 대표님을 조르고 조른 끝에 이제 드디어 이 책이 옷을 갈아입게 되었다. 아니 피부를 교체한다. 내가 찍힌 사진에서 내가 찍은 사진으로. 출판사에서 고른 이 사진들이 책의 내용과 각각 어떻게 조응하는지 똑 부러지게 설명하긴 어렵다. 그런데 가만 보고 있으면 묘하게도 납득이 된다. |
| 라이카를 좋아하는 이유요? 라이카는 색깔이 유난스럽거나 인위적이지 않아서 좋아요. 유명한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제품이 아니잖아요. 그냥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방해되는 것들을 배제해 미니멀한데 그 어떤 스타 디자이너의 작품보다 우월하죠. 물건에 대한 존경심이 아니라 물건을 만든 장인들에게 존경심을 갖게 하는 제품이에요. |
| 〈박쥐〉에는 이런 내 어린 시절 내면의 경험이 담겨 있다. 제도화된 종교를 더는 존경하지 않지만 어떤 종교인들은 지금도 충분히 존경한다. 천주교 신부가 주인공인 이 영화로 나는 ―비록 그가 흡혈귀가 됐어도, 아니 흡혈귀가 됐기 때문에 더욱― 내가 아는 몇몇 경건한 신부님들을 향한 내 존경심을 표현하려고 했다. - ‘작가의 말_박찬욱’ 중에서 |
| 내가 쓴 책인데도 좀처럼 똑바로 보지를 못했다. 표지에 내 얼굴 사진이 크게 박힌 데다가 피부가 플라스틱처럼 매끈매끈하게 보정되었기 때문이다. 표지만 보아서는 딱 피부과 전문의의 저서 꼴이 아닌가(하긴 〈미쓰 홍당무〉라는 영화에 ‘피부과 전문의 박찬욱’이라는 캐릭터가 나오기는 한다. 이 책 표지에서 영감을 받아 창조되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출판사 대표님을 조르고 조른 끝에 이제 드디어 이 책이 옷을 갈아입게 되었다. 아니 피부를 교체한다. 내가 찍힌 사진에서 내가 찍은 사진으로. 출판사에서 고른 이 사진들이 책의 내용과 각각 어떻게 조응하는지 똑 부러지게 설명하긴 어렵다. 그런데 가만 보고 있으면 묘하게도 납득이 된다. |
| 내가 쓴 책인데도 좀처럼 똑바로 보지를 못했다. 표지에 내 얼굴 사진이 크게 박힌 데다가 피부가 플라스틱처럼 매끈매끈하게 보정되었기 때문이다. 표지만 보아서는 딱 피부과 전문의의 저서 꼴이 아닌가(하긴 〈미쓰 홍당무〉라는 영화에 ‘피부과 전문의 박찬욱’이라는 캐릭터가 나오기는 한다. 이 책 표지에서 영감을 받아 창조되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출판사 대표님을 조르고 조른 끝에 이제 드디어 이 책이 옷을 갈아입게 되었다. 아니 피부를 교체한다. 내가 찍힌 사진에서 내가 찍은 사진으로. 출판사에서 고른 이 사진들이 책의 내용과 각각 어떻게 조응하는지 똑 부러지게 설명하긴 어렵다. 그런데 가만 보고 있으면 묘하게도 납득이 된다. |
| 마침 그즈음, 손가락 끝이 기관총구로 변해 발작적으로 탄환을 퍼부으면서 입으로는 토하듯이 탄피를 뱉는 소녀의 꿈도 꾸었겠다, 신이 나서 서경 작가에게 전화를 걸었고, 서경은 정신과 의사 베프를 톡톡히 잘 써먹어가며 초고를 써 내놓았고, 나는 늘 하는 대로 서경과 마주 앉아 함께 거듭 고쳐 썼다. (…) 나는 서경 작가 말마따나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를 좋아한다는 사람을 만날 때 그다지 감사해 하지는 않는 편이다. 다만 속으로 이렇게 뇔 뿐이다. ‘정의는 살아 있다!’
|
| 그래도 따지고 보면 나란 놈은 정말이지 운도 좋지 뭔가, 팬들이 그 모든 어려움을 뚫고 [아가씨]에게 와주었잖아. 그래....그랬기 때문에 [아가씨]가 새롭게 태어나게 된 건 맞다. 모름지기 영화란 관객 하나하나와의 사적인 만남을 통해 무수히 새로 태어나는 법이 아니던가. 나는 참 행복하다, 감독이란 뭐니 뭐니 해도 손님들이 영화에서 좋은 냄새 난다고 그럴 때가 제일로 기쁜 법이니까. 나는 뿌듯하다, [아가씨]는 내 아기씨니까. 그리고 또 나는 든든하다, 이렇게 [아가씨]를 사랑하는 이들이 [아가씨]를 지켜줄 힘까지 가졌으니까. - ‘작가의 말_박찬욱’ 중에서 |
| 내 영화에도 여성성, 아이다운 천진함, 동화적인 아름다움, 낙관주의, 설레임, 감사하는 마음, 쓸데없는 공상 같은 것들이 들어 있다면 그건 정서경에게서 비롯한 것이다. 내게서 나온 아이디어들이 없지는 않겠지만 그조차도 정서경에 의해 일깨워진 것이다. |
|